제4장 염부중생업감품 (염부제 중생이 지은 업에 대한 과보)
이때 지장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제가 부처님의 위신력을 입은 연고로 두루 백천만억 세계에 이 몸을 나투어서 일체 고통받는 업보 중생을. 구원하나이다. 만약 여래의 크나큰 자비의 힘이 아니라면 능히 이러한 변화를 하지 못하나이다. 이제 저는 부처님으로부터 위임을 받았으니, 아일다(미륵부처님)께서 성불하여 오실 때까지 육도 중생으로 하여금 해탈하게 하오리니 세존께서는 염려하지 마시옵소서』
그때 부처님께옵서 지장보살에게 이르시길, 『일체중생이 해탈을 얻지 못하는 것은 의지가 정한 바가 없어 악한 습관으로 악업을 짓고 착한 습관으로 선업을 지어서, 혹은 착하기도 하고 악하기도 하여 경계에 따라 태어나는 바, 오도를 윤회하되 잠시도 쉴 사이가 없으며, 그 사이가 티끌 수와 같은 겁이 지나도록 미혹하여 장애와 액난을 받는 것이 마치 그물을 긴 물줄기로 착각하고 어망으로 들어가는 물고기와 같아 [오랜 고군분투 끝에] 마침내 일시적으로 탈출하지만 다시 그물에 갇히게 되는 바, 이러한 무리를 내가 마땅히 근심하고 염려하였더니, 네가 이미 예로부터 세웠던 원력과 또한 여러 겁을 두고 크게 맹세한 바를 마치려 하여 이들 죄업 중생의 무리를 제도하리라 하니, 내가 다시 무엇을 염려하리오』
부처님께서 이 말씀을 설하실 때 회중에 정자재왕이라는 이름의 한 보살마하살이 있어 부처님께 여쭈옵되 『세존이시여, 지장보살이 여러 겁을 내려오면서 각각 어떠한 원을 세웠기에 이렇게 세존의 은근하신 찬탄을 입게 되었나이까? 세존께옵서 간략히 말씀하여 주시옵소서』 그때 세존께옵서 정자재왕보살에게 이르시되, 『자세히 듣고 자세히 들어서 잘 생각하고 생각하여라.
지나간 옛 과거 한량없는 아승지 나유타불가설 겁에 그 당시 부처님이 계셨으니, 호는 일체지성취여래, 응공, 정변지, 명행족, 선서, 세간해, 무상사, 조어장부, 천인사, 불세존이셨고, 그 부처님의 수명은 육만겁이었더니라.
이 부처님께서 출가하시기 전에는 작은 나라의 왕으로서 한 이웃 나라의 왕과 벗이 되어서 함께 십선을 행하며 중생들을 이롭게 하였느니라. 그런데 이웃나라의 백성이 여러 가지 악을 많이 지었기 때문에 [백성을 교화하기 위해] 두 왕은 의논하여 여러 가지의 방편을 베풀었는데 한 왕은 이때 서원을 세우기를 「어서 불도를 이루어서 널리 이 중생들을 제도하여 남음이 없도록 하리라」 하였고, 한 왕은 서원을 세우기를 「만약 먼저 이 죄 많은 중생들을 제도하여 안락하게 하고 보리를 얻게 하지 못한다면 내가 언제까지나 부처가 되기를 바라지 않으리라」 하였느니라』 부처님께옵서 정자재왕보살에게 계속하여 말씀하시되 『속히 성불하기를 발원한 왕은 곧 일체지성취여래이시며, 죄 많은 중생을 길이 제도하지 아니하면 성불하기를 원치 않는다고 발원한 왕은 곧 지장보살이니라.
다시 과거 무량 아승지겁에 한 부처님이 계셨으니, 이름이 청정연화목여래이시니, 그 부처님의 수명은 40겁이셨는데 그 부처님의 상법 시대에 한 나한이 계시어 중생을 복으로써 제도하였느니라. 교화하시던 중에 한 여인을 만나게 되었는데 그 이름이 광목이니라.
그가 음식을 베풀어 공양을 올릴 때, 나한이 원하는 바가 무엇이냐고 물으니 광목이 대답하기를, 「제가 어머니께서 돌아가신 날에 복을 지어 어머니를 천도하고자 하오나, 저의 어머니가 어느 곳에 가서 나신 줄을 알지 못합니다」 하였다. 나한은 이를 가엾이 여기시고, 선정에 들어 관찰하여 보니 광목의 어머니가 지옥에 떨어져 큰 고통을 받는 것이 보였다. 이에 나한은 광목에게 말하기를, 「그대의 어머니가 살아 계실 때 어떠한 업을 지었기에 지금 지옥에서 아주 큰 고통을 받고 있나이까?」
광목이 대답하기를, 「우리 어머니는 평소에 물고기와 자라 등을 먹기 좋아하시어 특히 자라 새끼를 많이 먹었는데, 볶고 지지고 하여 마음대로 먹었나이다. 아마 그 수가 천이나 만보다도 배나 더 될 것이옵니다. 존자께서는 가엾이 여기시어 어떻게 하든지 어머니를 구하여 주시옵소서」
나한이 이를 불쌍히 여기시고 방편을 지어서 광목에게 권하기를, 「그대는 지극한 정성으로 청정연화목여래를 생각하고 따라서 그 형상을 조성하거나 그려서 모시면 산 사람도 죽은 사람도 모두 좋은 과보를 얻을 것이오」』